본문 바로가기
건강

여름철 건강, 폭염과 온열질환 예방하기

by 호노 2024. 7. 8.

 

2024년 6월 폭염일수 분포도 (기상청)

 

2024년 7월8일 내일신문 기사 "이상폭우에 이상폭염…온난화로 커지는 ‘열돔’ 위험" (내일신문) '

 

 

 여름철 폭염은 우리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특히 온열질환은 적절한 예방과 대처가 필수적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폭염의 정의와 원인, 온열질환의 종류와 예방 건강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| 폭염이란?

 폭염은 매우 심한 더위를 뜻하며,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상 현상입니다.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폭염특보를 통해 이를 경고하며,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로 나뉩니다. 예를 들어, 일 최고 체감온도 33℃ 이상이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주의보가 발효됩니다.

 

| 온열질환이란?

 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,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면 두통, 어지러움, 근육경련, 피로감,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. 온열질환은 열에 의한 체온 조절 기능의 실패로 발생하며,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
 

| 온열질환의 종류와 증상

온열질환 종류 (질병관리청)

  • 일사병(열탈진): 장시간 고온 환경에 노출되면서 수분 및 전해질 보충이 부족할 때 발생하며, 증상으로는 어지럼증, 피로, 오심 등이 있습니다.
  • 열사병: 땀이 나지 않고 오심, 구토, 의식 변화가 나타나며 심부체온이 40도 이상 올라갑니다.
  • 열경련: 더위 속에서 장시간 운동한 뒤 근육 경련이 발생하는 것으로, 전해질 이상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  • 열부종: 고온 환경에 노출되면 혈관이 확장되어 팔다리에 부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.
  • 열발진: 고온 환경에 노출되면 땀샘이 막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.

 

| 온열질환 예방법

물을 자주마시고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며 무리한 활동을 하지 않는다

  • 물을 자주 마시고,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며, 무리한 활동을 자제하는 등의 기본적인 건강수칙을 지켜야 합니다.
  • 사업장에서는 폭염이 오기 전에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사전 점검하고, 자체 예방대책을 수립하여 단계별로 조치해야 합니다.
  • 정부에서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6가지 생활 수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: 낮 시간대 외출 자제, 그늘에서 휴식 취하기, 충분한 수분 섭취, 가벼운 옷 착용, 실내 온도 관리, 위험군 관심 등입니다.

 

| 온열질환 취약계층

취약계층 (질병관리청)

  • 노약자, 어린이, 기저질환자,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등이 온열질환에 취약합니다.
  • 노인의 경우 땀샘 감소로 인한 체온조절 기능 저하, 동반 질환 등으로 온열질환에 더욱 취약합니다.

 

| 코로나19와의 관계

  • 코로나19 감염 시 발열 증상이 있어 온열질환과 증상이 겹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코로나19 확진자나 의심자는 온열질환 발생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.
  •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외출이 줄어들어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온열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
 

| 정부 및 기관의 대응

  • 정부와 지자체, 공공기관 등에서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
  • 건강보건 관련 기관에서는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, 취약계층 대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
 

| 국내 온열질환 발생 현황

연도별 온열질환자 및 폭염일수 (질병관리청)

 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, 질병관리청 등에 따르면, 최근 몇 년간 온열질환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거나 사망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특히 폭염 기간 동안에는 온열질환 환자가 급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.

 

| 대상자별 예방 건강수칙

 1. 노약자

  • 더운 시간대 외출을 피하고, 외출 시 가벼운 옷을 입고 양산을 사용합니다.
  •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되, 당뇨병이나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 상담 후 적절한 양을 섭취합니다.
  • 실내에서는 선풍기나 에어컨을 사용하여 적절한 온도를 유지합니다.

 

2. 어린이 

  • 외출 시 모자를 착용하게 하고, 야외 활동은 가급적 오전이나 저녁 시간대로 조정합니다.
  • 놀이 중 자주 휴식을 취하고, 물을 충분히 마시게 합니다.
  • 자동차 안에 아이를 혼자 두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
 

3. 기저질환자

  • 평소 복용 중인 약물이 온열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, 폭염 시기에는 전문의와 상담합니다.
  • 실내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, 무리한 신체 활동을 피합니다.
  •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하며,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합니다.

 

4.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

  • 주변 이웃이나 가족과의 소통을 통해 건강 상태를 체크받습니다.
  • 지역 사회 복지 기관의 도움을 받거나, 온열질환 관련 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.

 

이상으로 온열질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.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건강수칙을 잘 지켜주시기 바랍니다.

 

[참고자료]

[1] 질병관리청 - 최근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온열질환 (https://www.kdca.go.kr/filepath/boardDownload.es?bid=0015&list_no=714173&seq=1) 

[2] 한국건강증진개발원 - 건강취약계층 폭염대비 방문건강관리사업이 함께합니다 (https://www.khepi.or.kr/webzine/vol_06/cnt_4_2.jsp) 

[3]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- 온열질환을 시원하게 극복할 수 있는 폭염 대비 건강수칙 4 ... (https://m.korea.kr/multi/visualNewsView.do?newsId=148930874&pWise=mSub&pWiseSub=I1) 

[4] 기상청 날씨누리 - 대상자별 온열질환 예방 매뉴얼 (http://www.weather.go.kr/wnuri_help/doc/wrn_heatwave_weak_prv_manual.pdf) 

[5] 질병관리청 - 온열질환 | 폭염 | 건강위해정보 (https://www.kdca.go.kr/menu.es?mid=a20205050100) 

[6] 의학신문 - 폭염 속 온열환자 급증, 그 치료법은?  (http://www.bosa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91839) 

[7]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- 온열질환의 진단 및 치료 (https://jkma.org/journal/view.php?number=3221&viewtype=pubreader) 

[8] 질병관리청 - 온열질환종류및응급조치 | 폭염 | 기후변화 | 건강위해정보 (https://www.kdca.go.kr/menu.es?mid=a20205030103)